본문 바로가기
방송 속 경제

'국민영수증' 사회초년생 연금 선택 어떻게?

by 매일리뷰 2022. 3. 9.
728x90
반응형

'국민영수증' 사회초년생 연금 선택 어떻게?

2022년 3월 9일 수요일 방송

 

의뢰인 고민 Q.

'사회 초년생입니다. 노후를 대비하는 상품도 필요할 것 같아 연금 저축에 가입했는데 인터넷을 보니 누구는 연금보험 해라, 누구는 연금 저축해라, 저축 보험을 해라, 다 조금씩 다르던데 이게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어요. 사회초년생은 어떤 연금 상품으로 노후 대비해야 할까요?'

 

전문가 A.

-연금은 세제 적격, 세제 비적격 2가지 종류 있음(세제 혜택 여부의 차이)

-세액 공제 받을 수 있는 조건(세제 적격)? 55세 이후 수령, 일시금 아닌 연금 형태, 5년 이상 납입 (세액 공제받는 대신 연금 소득세 내야 함)

 

-세제 혜택 받지 않은 경우(비적격)? 일시금 수령 가능, 이자소득세나 연금 소득세 없음

 

-어떤 상품이 맞을까? 연금은 노후 대비, 한참 있다 찾아 쓰는 돈이기 때문에 투자 기간이 김. 때문에 사회 초년생이 연금을 과하게 가입했을 경우 내 집 마련 등 목돈이 필요한 단기 목표에 지장을 줌.

 

-결론은 20년 이내는 세제 적격, 20~30년 이상은 세제 비적격을 추천.

 

-주의할 점? 20~30년 후 수령 금액을 저축하는 것이기 때문에 저축 기간이 길다면 금리형보다 투자형 추천. 예를 들어 20년 동안 매달 10만 원씩 적금한 사람과 20년 동안 매달 주식을 산 사람은 차이를 보일 수밖에 없음.

 

- 또 주의할 점? 사회 초년생은 대체로 소득이 낮음. 때문에 본인 저축액의 10% 이상은 하지 말 것. 100만원 저축한다면 연금은 10만 원이 적당.

 

728x90
반응형
그리드형

댓글